역비의 책         계간 역사비평

역사비평 통권 117호 / 2016 겨울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140


 

「역사비평」 2016년 겨울호. 이번호 특집은 미국의 대통령 선거이다. 세 편의 글은 모두 이번 선거의 특징을 역사적으로 성찰하였다. 특히 대통령 후보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트럼프 현상으로 나타나는 미국의 보수적 대중주의가 어떠한 길을 걸어왔는가를 고찰하고, 힐러리가 당선될 수 없었던 역사적 배경을 분석했다. 


'새롭게 보는 정조와 19세기'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까지의 한국사를 재조명하고자 했다. 조선 후기에 대한 기존의 역사관에 비판적인 문제제기를 해보고자 한 것이다.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 역사학 비판'은 올해 「역사비평」을 가장 뜨겁게 했던 기획이었다. 이번호에서는 민족주의 사학을 자칭하는 사이비역사학 측이 왜곡된 형태로 전유하고 있는 표상들로서 신채호와 단군, 백제의 요서 진출 등을 짚어냈다.  

책머리에 트럼프 당선이 주는 의미 / 박태균

특집 : 2016 대통령 선거와 미국사회
과거에서 길을 묻다―1964·1972 대선을 통해 본 2016 미 대선과 민중주의 /김정욱
조지 월리스의 부활―트럼프 현상의 연속성과 새로움 / 안병진
68세대의 주역에서 여성 대통령 후보로―힐러리의 도전, 미국의 선택 / 김인선

연속기획 : 새롭게 보는 정조와 19세기 ③ 세도정치기의 이질적 시공간
18세기 중반~19세기 전반 서울-지방 격차와 지식인의 인식 / 이경구
19세기 조선의 지식인 지형―균열과 가능성 / 조성산
‘근세’ 동아시아의 정치문화와 직소 / 배항섭

연속기획 :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 역사학 비판 ③
민족주의 역사학의 표상, 신채호 다시 생각하기 / 권순홍
단군―역사와 신화, 그리고 민족 / 이승호
민족의 국사 교과서, 그 안에 담긴 허상―4·5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를 중심으 로 / 장미애

연속기획 : 도시로 읽는 1949년 이후의 중국 ③
중국공산당의 도시 접관 정책과 ‘신민주주의혁명’ / 이원준
사회주의 시기 상하이 도시 개조와 공인신촌―차오양신촌을 중심으로 / 김승욱
역사적 시각에서 본 중국의 도시 기층조직―거민위원회를 중심으로 / 윤형진
‘특권적’ 노동자계급의 창출―1950년대 초 선양시 테시구 노동경쟁 캠페인과 공인촌 건설 / 한지현 
삼선건설과 판즈화―사회주의 시기 초고속 도시화와 그 이면 / 이현태

문화비평

‘역사전쟁’과 역사영화 전쟁―근·현대사 역사영화의 재현 체계와 수용 양상 / 천정환


서평
멸종 위기의 자본가? ―『자본주의 길들이기』(장문석, 창비, 2016) / 장석준
중국 농민으로 상상한 제3의 길―『중국의 감춰진 농업혁명』(황쭝즈, 진인진, 2016) / 강진 아
중국 고대사 연구자가 바라본 한국 고대사―『고대 중국에 빠져 한국사를 바라보다』(심재훈 , 푸른역사, 2016) / 송호정 

중국 중심 세계사에 대한 해독제―『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김호동, 사계절, 2016) / 김시덕

 

 첨부파일
역비-117호(입체).pn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