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호부터 3회에 걸쳐 진행될 연속기획 '과학대통령 박정희라는 신화'는 김근배, 최형섭.임재윤의 글 두 편으로 문을 열었다. 박정희 시대 과학기술에 대한 총론적 성격의 글 두 편을 시작으로, 여름호와 가을호에서는 과학기술계와 사회 일반의 움직임을 다룬 각론과 아울러, 당대와 오늘날 과학기술인들을 지배했던 과학기술 개발 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평가가 실릴 것이다.
책머리에 박근혜 최순실 게이트의 끝, 그리고 그 너머 / 박태균
특집: 위사(僞史)와 위서(僞書)
‘고대사파동’과 식민주의 사학의 망령 / 조인성
『환단고기』의 성립 배경과 기원 / 이문영
‘벨레스서’로 본 러시아의 위서와 21세기 유라시아 역사분쟁 / 강인욱
위서 비판에서 위서 연구로―일본 위서의 검토 및 한국 위서와의 비교 / 김시덕
위서(僞書)를 말하다 / 박지현
연속기획: “과학대통령 박정희”라는 신화 ①
박정희 정부 시기 과학기술을 어떻게 볼 것인가?―과학대통령 담론을 넘어서 / 김근배
최형섭과 ‘한국형 발전모델’의 기원 / 임재윤·최형섭
기획 1: 대중문화로 보는 중국의 남북한 인식
중국의 TV시사토론 속의 한국과 북한 / 백지운
중국 영화와 드라마의 '항미원조' 기억과 재현 / 김란
신비의 나라―중국인의 북한 관광과 노스탤지어 / 주윤정
기획 2: 냉전의 사상·심리전, 한국전쟁을 만나다
냉전의 사회과학과 ‘실험장’으로서 한국전쟁―미공군 심리전 프로젝트의 미국인 사회과학자들 / 김일환·정준영
사상심리전의 텍스트로서 한국전쟁―자유세계로의 확산과 동아시아적 귀환 / 옥창준·김민환
전쟁 속의 만화, 만화 속의 냉전―한국전쟁기 만화와 심리전 / 백정숙
수용소에 갇힌 귀환용사―‘지옥도’ 용초도의 귀환군 집결소와 사상심리전 / 전갑생
역비논단 잊혀진 자들의 투쟁―한국 성판매여성들의 저항의 역사 / 박정미
문화비평 누가 촛불을 들고 어떻게 싸웠나―2016/17년 촛불항쟁의 문화정치와 비폭력·평화의 문제 / 천정환
서평 표지의 발견과 이미지의 생태학―『시대의 얼굴: 잡지 표지로 보는 근대』(서유리, 소명출판, 2016)/ 박진영
‘서울의 역사’로 순치된 식민지 근대 도시계획사의 불편한 진실―『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 : 1910~1945 도시계획으로 본 경성의 역사』(염복규, 이데아, 2016) / 김백영
유령을 통한 모더니즘의 해체―『베트남 전쟁의 유령들』(권헌익 지음, 박충환·이창호·홍석준 옮김, 산지니, 2016) / 박태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