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보는 정조와 19세기'는 18세기, 19세기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재검토하자는 기획이다. 지난호에서 정조에 대한 새로운 분석과 인식이 필요하다는 점이 논의되었다면, 이번 호에서는 19세기를 세도정치 시기로 규정하고 정조시대와 구분되는 '타락'의 시대로 보아왔던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보고자 했다.
또한 계간지라는 시기적 한계는 있지만, 「역사비평」은 학술적 치밀함과 진중함을 잃지 않으면서도 늘 동시대의 이슈들과 긴장을 놓치지 않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번호에서 그 결실은 '초청논단'에 실린 논문 '7.10 참의원 선거와 아베 정권의 향방'(박철희), '문화비평'에 실린 글 '강남역 살인사건부터 메갈리아 논쟁까지-페미니즘 봉기와 한국 남성성의 위기'(천정환)에서 특히 빛을 발한다.
책머리에 다시 8·15를 맞으며 / 박태균
특집: 도시로 보는 1949년 이후의 중국 ②
동향촌의 변화를 통해 본 베이징 성중촌 현상과 개조 / 장호준
1990년대 중국 주택제도 개혁과 도시 기득권의 확립―상하이시 사례를 중심으로 / 김도경
중국 개혁기 자본의 도시, 강탈의 도시로의 이행―광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신현방
중국의 도시화와 공공토지 사유화 / 조성찬
중국 동북 지역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노후공업도시’ / 박철현
기획: 새롭게 보는 정조와 19세기 ② 정조와 세도정치
19세기 부세 운영과 ‘향중공론’의 대두 / 송양섭
19세기 정조의 잔영과 그에 대한 기억 / 노대환
오늘날의 역사학, 정조 연간 탕평정치 및 19세기 세도정치의 삼각대화 / 오수창
초청논단 7·10 참의원 선거와 아베 정권의 향방 / 박철희
역비논단
조선시대 대중국 역사변무의 의미 / 정병설
베를린장벽 역사기념물 만들기―관광의 풍경에서 기억의 터전으로 / 육영수
중국은 ‘제국의 원리’를 제공할 수 있는가―가라타니 고진의 ????제국의 구조????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조경란
문화비평 강남역 살인사건부터 ‘메갈리아’ 논쟁까지―‘페미니즘 봉기’와 한국 남성성의 위기 / 천정환
서평
김종필 증언록―JP가 말하는 대한민국 현대사(김종필, 와이즈베리, 2016)
일본은 기지국가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 박태균
기지국가의 탄생: 일본이 치른 한국전쟁(남기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중국혁명은 마오의 것이 아니다 / 김희교
1945 중국, 미국의 치명적 선택(리처드 번스타인, 책과함께,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