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비의 책         근현대사

또하나의 한국전쟁 - 만주 조선인의 '조국'과 전쟁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008


또하나의 한국전쟁 - 민주 조선인의 '조국'과 전쟁

염인호 지음
출간일ㅣ2010-08-27
양장본 | 724쪽 | 223*152mm (A5신) | ISBN(13) : 9788976967275
정가ㅣ38,000원

● 이 책은...

만주 조선인들은 무엇을 위해 싸웠는가?

1950년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인민군의 선봉에는 10개의 만주조선인 연대가 있었다. 만주 조선인들은 과연 무엇을 위해 싸웠는가? 일제시기 만주로 강제이주당한 조선인들은 해방 이후 '조선족'이라는 이름으로 중국사의 일부가 되었다. 재중국 조선인(한인)들의 민죽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온 염인호 교수가『또 하나의 한국전쟁』에서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만주 조선인의 역사를 재구성한다. 연변, 길림, 목단강시 등에서 꾸준히 발행된 한글신문들, 중국 당안관 문서와 문혁 시기 자료들에서 퍼올린 만주 조선인들의 생생한 육성을 통해, 그들이 지닌 조선민족으로서의 정체성과 뜨거웠던 한반도 조국애를 생생하게 되살려낸다.

총 3부로 구성된 본문은 연변지역 조선인사회, 북만주지역, 중국국민당 점령지역의 조선인사회를 다루고 있다. 중국국민당 점령지역의 조선인사회도 다루고, '만주 국공내전의 추이'를 수록해 책 전체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한국전쟁 발발 60주년을 맞이해 발간된 이 책은 한국전쟁과 재중국 조선족(조선인) 사회를 보다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차례

책머리에
서론

제1부 연변 조선인의 ‘조국’과 한국전쟁
제1장 한국전쟁과 연변 조선인의 ‘조국’
제2장 조선인 부대의 창설·활동과 조·중 민족갈등
제3장 친일잔재 청산투쟁·토지개혁과 위축되는 조선인사회
보론 연변민주대동맹의 결성과 역할
제4장 “연변은 북한에 귀속되어야”
제5장 연변대학 설립 및 체제개편과 북한
제6장 연변 출신 조선인 부대의 활동과 귀국
제7장 한국전쟁 발발과 연변 조선인사회의 대응
제2부 북만주지역 조선인사회와 독립동맹의 조국통일전략
제8장 목단강시 조선인사회와 한반도의 관계
제9장 목단강지구의 민족갈등과 조선인 부대
제10장 독립동맹 북만특위의 활동과 조선의용군의 조국통일전략
제11장 조선인 부대 제164사단의 만주에서의 활동과 한국전쟁 참전
제3부 중국국민당지구 한국독립당의 조국통일전략과 좌절
제12장 한독당의 ‘남한 반공·반소기지’노선과 한국광복군 확군운동
제13장 한국독립당의 만주진출과 남북통일전략
제14장 재만 한국독립당 군대 민주자위군의 위상
제15장 국민당지구 조선인의 남한으로의 대탈출, 그리고 만주 반공기지정책의 좌절

결론
부록: 참고문헌 / 인명색인 / 기타색인

● 저자

염인호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사학과와 국민대학교 국사학과에서 각각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해왔으며 그 사이 연변대학교(2001)와 북경대학(2010)에서 각각 반 년간 연구 혹은 강의를 했다. 재중국 조선인들의 민족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왔다. 연구의 중심을 민족운동가 개인에서 민족운동조직으로, 그리고 근년에는 민족운동의 기반인 교민사회로 넓혀왔다. 향후 러시아나 일본 및 미국의 한인사회에 대한 연구를 희망하고 있다.
주요저서로 <김원봉 연구>(1993)와 <조선의용군의 독립운동>(2001)이 있으며, 주요논문으로 <해방 후 중국 연변 조선인사회의 변동과 학교교육>(2003), <중국 연변의 ‘반간(反奸)청산투쟁’과 토지개혁>(1946)ㆍ(2006), <중국 국공내전기 만주 국민당지구 한인의 동>(1948)ㆍ(2007), <중국 국공내전기 목단강시 조선인사회와 한반도와의 관계(1945. 8~1948. 2)>(2009) 등이 있다.

 첨부파일
또하나의_한국전쟁.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