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비의 책         근현대사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서울의 봄'에서 군사정권의 종말까지[20세기 한국사 시리즈]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396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서울의 봄'에서 군사정권의 종말까지

정해구 (지은이) | 역사비평사 | 2011-05-13 발행
반양장본 | 264쪽 | 210*152mm
ISBN(13) : 9788976963246
정가ㅣ13,000원

● 이 책은...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를 돌이켜 생각해볼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무엇입니까?” 당신이 이 질문을 받는다면 어떤 답을 할 것인가? 가까이는 2008년 쇠고기 수입개방 협상에 대한 반대시위인 촛불시위를 떠올릴 수도 있고, 이승만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1960년의 4·19혁명을 기억해낼 수도 있으며, 1970년대의 반유신투쟁을 생각해낼 수도 있을 것이다.

아마 많은 사람들은 위 질문에 대한 답으로, 4·19혁명 외에 1980년 5·18광주민중항쟁, 1987년 6월민주항쟁을 말할 것이다. 이렇듯 한국 민주주의는 1980년대 민주화 항쟁을 거쳐 발전해온 측면이 크다. 한 연구자는 1987년 이전의 한국 민주주의를 가리켜 ‘운동에 의한 민주주의’라고 정의했을 정도로, 한국에서 민주주의의 성장과 발전은 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책은 바로 1980년대 한국 민주화운동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물론 1980년대를 지배한 전두환 정권의 정치·경제·사회도 아울러 서술함으로써 20세기 끝자락의 한국사회를 들여다본다.

● 차례

프롤로그: 1980년대 이전의 민주화운동
한국 민주주의와 1980년대 민주화운동 / 이승만 정권 시기의 민주화운동 / 박정희 정권 시기의 민주화운동

01 ‘서울의 봄’과 신군부 세력
부마항쟁과 10·26사태 / 12·12군사반란과 신군부 세력의 등장 / ‘서울의 봄’ 시기 민주화 과정의 전개 / 쿠데타의 준비, ‘충정훈련’과 ‘K-공작계획’ / 갈림길에 선 민주화

02 5·18광주민중항쟁
5·17군사쿠데타 / 신군부 세력의 과잉진압 / 항쟁으로의 전화와 진압의 실패 / ‘절대공동체’ 광주의 ‘해방’ / 광주의 고뇌 / 상무충정작전

03 전두환 정권의 등장과 체제 정비
국보위 설치, ‘숙정’과 ‘정화’ / ‘사회악 일소’와 삼청교육 / 전두환 정권의 출범과 ‘관제 민주주의’ / 국가보위입법회의와 악법의 양산 / 정당성의 부족과 대체적 정당성의 모색 / 민주화운동의 시련과 내연

04 민주화운동의 부활과 전두환 정권의 대응
유화조치 / 학생운동의 부활 / 노동운동의 확산과 강화 / 2·12총선과 선명 야당의 등장 / 재야세력의 결집과 민통련의 등장 / 개헌정국의 갈등과 민주화운동 진영의 분열 / 전두환 정권의 탄압 강화

05 6월민주항쟁
항쟁의 배경과 촉발 / 국본의 탄생 / 6월민주항쟁의 전개 / 지방에서의 항쟁 / 6·29선언, 양보와 분리 지배 / 또 하나의 항쟁, 7·8·9월 노동자대투쟁

06 민주화 이행과 지역주의 정치의 등장
민주화 이행의 한국적 맥락 / 헌법 개정과 1987년 헌법의 등장 / 양 김의 분열, 재야세력의 분열, 지역의 분열
제13대 대통령 선거와 그 결과 / 민주화의 성공, 민주정부 수립의 실패 / 지역주의 정치의 고착

07 민주화 이후 민주개혁의 성과와 한계
야대여소 국회와 5공청산의 추진 / 통일운동의 부상 / 공안정국 / 야권 공조의 약화와 ‘의사 민주화’ / 민주화운동 조직의 새로운 결성과 재편

08 1980년대 남북관계와 경제·사회
1980년대 중반의 남북대화 / 노태우 정권의 북방정책 추진 / 경제안정화 정책과 ‘3저 호황’ / 주식·부동산 투기 열풍과 ‘중산층 신화’ / 대규모 권력비리와 정경유착 / 탈정치의 ‘스포츠공화국’ / 대중문화와 대중조작

에필로그: 1980년대를 넘어 1990년대로
민주화 이후의 보수화: 3당 합당과 5월투쟁 / 탈냉전과 남북관계의 진전 / 장밋빛 환상과 경제 현실

부록 미주 / 참고문헌 / 이 책에 쓰인 사진의 출처 / 찾아보기


● 저자

정해구
최근작 : <해방 이후 한국사 세트 - 전3권>,<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거꾸로, 희망이다> … 총 10종 (모두보기)
소개 :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요 연구분야는 한국 현대정치와 민주주의이다. 주요 저서로는『6월항쟁과 한국의 민주주의』(공저),『한국정치와 비제도적운동정치』(공저),『한국민주화운동사 3』(공저) 등이 있다.

 첨부파일
20세기한국사(전두환)_표지1.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