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연재는 2013년 10월~11월에 로 5회에 걸쳐 진행되었던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역사 속 민주주의 ;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강의안을 수록한 것입니다. |
[역사적 민주주의 강의안] 4강 : 인민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노경덕, 광주과학기술원)
2013 역사문제연구소 연속강좌
역사적 민주주의 : 제도 밖에서 보는 민주주의의 역사
4강 : 인민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노경덕(광주과학기술원)
1. 인민민주주의의 개념의 특이성 : 민주주의의 일반적 정의와의 비교
- 소련과 국제 공산주의 운동 역사의 산물
2. 초기 소련역사와 민주주의 : 인민민주주의 개념의 형성 과정
- 레닌과 볼셰비키의 '민주주의'론
- 러시아 혁명: 소위 '혁명적 민주주의'
- 내전 이후 신경제정책 시기: 민주주의 개념의 변화
3. 1930년대 국제정세의 변화와 인민민주주의의 탄생
- 스탈린시대 민주주의의 의미
- 파시즘의 대두와 소련 및 유럽 공산주의자들의 대응
- 코민테른의 인민민주주의 개념 공식화
4. 제2차 대전과 그 이후의 인민민주주의
- 전후처리: 반파쇼, 반제국주의, 반봉건
- 스탈린(주의자들)의 역사발전 법칙과 인민민주주의의 위치
- 인민민주주의의 체제들: 동유럽과 동아시아
** 본 강의는 자세한 강의안이 마련되지 못했던 관계로, 간단한 목차만을 제공합니다. 양해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