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일 2014-03-05 | 정가 15,000원
384쪽 | 223*152mm (A5신) | 480g | ISBN(13) : 9771227362707
「역사비평」 2014년 봄호 특집은 '역사 속의 평화, 평화의 역사'이다. 이동기, 허수, 정용욱, 남기정, 네 명의 필자가 참여한 이번 특집은 한국 역사학계에서 미개척 분야인 평화사의 중요성을 환기시킨다. 아울러 한국 및 동아시아 근현대사에서 '평화의 발명'이 어떻게 이루어져왔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이동기에 따르면 평화사 발전의 배경은 20세기 후반 냉전과 핵전쟁이 초래한 위기에 대한 서구 역사학계의 의식적 결집과 집단적 노력이었다. 그는 한국의 평화사 연구가 결과주의 역사해석이나 이데올로기적 이상화에 경도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다. 허수는 한국 근대사에서 평화론 전개에 큰 계기가 되었던 러일전쟁과 제1차 세계대전 기간 '평화' 인식의 변화를 추적했다.
또한 정용욱은 6.25전쟁 이전 북한의 평화운동을 분석했다. 남기정의 글은 일본의 전후 평화주의와 평화운동의 복잡다단한 전개 과정을 명료하게 정리하며, 감정적 반감이나 근거 없는 낙관주의에 경도되지 않고 '문제적 일본'을 직시할 수 있게 해준다.
이동기에 따르면 평화사 발전의 배경은 20세기 후반 냉전과 핵전쟁이 초래한 위기에 대한 서구 역사학계의 의식적 결집과 집단적 노력이었다. 그는 한국의 평화사 연구가 결과주의 역사해석이나 이데올로기적 이상화에 경도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다. 허수는 한국 근대사에서 평화론 전개에 큰 계기가 되었던 러일전쟁과 제1차 세계대전 기간 '평화' 인식의 변화를 추적했다.
또한 정용욱은 6.25전쟁 이전 북한의 평화운동을 분석했다. 남기정의 글은 일본의 전후 평화주의와 평화운동의 복잡다단한 전개 과정을 명료하게 정리하며, 감정적 반감이나 근거 없는 낙관주의에 경도되지 않고 '문제적 일본'을 직시할 수 있게 해준다.
책머리에 새로운 사상과 행동을 갈구하는 시대 / 허은
특집 : 역사 속의 평화, 평화의 역사
평화사란 무엇인가? / 이동기
20세기 초 한국의 평화론 / 허수
6·25전쟁 이전 북한의 평화운동 / 정용욱
일본의 전후 평화주의―원류와 전개, 그리고 현재 / 남기정
기획 : 아래로부터 역사읽기
4월혁명의 기억에서 사라진 사람들―고학생과 도시하층민 / 오제연
그 많던 ‘외치는 돌멩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1980~90년대 노동자문학회와 노동자 문학 / 천정환
초점
『영국 노동계급의 형성』 다시 읽기―출간 50주년에 부쳐 / 김대륜
정대협 운동사의 현재를 담다―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 / 박정애
지금 여기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문제와 대통령 기록물 관리 / 김익한
역비논단 G2시대의 중국 사회주의―역사적 관점에서 본 중국의 개혁개방 / 강진아
폭력 개념에 대한 고찰―갈퉁, 벤야민, 아렌트, 지젝을 중심으로 / 이문영
서평
평범치 않았던 시기, 평범한 사람들의 속삭임
(올랜도 파이지스 지음, 김남섭 옮김, 『속삭이는 사회―스탈린시대 보통사람들의 삶, 내면, 기억』 1·2, 교양인) / 이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