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비의 책         계간 역사비평

역사비평 통권 113호 / 2015 겨울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192

 

「역사비평」 2015년 겨울호. 지난호에 이어 두 번째로 구성된 특집 '해방 70년의 변곡점'은 그동안 한국 현대사 연구에서 때때로 언급은 되었지만, 독자적으로는 조명 받지 못했던 주제들을 찾고자 했다. 분단과 전쟁, 독재와 민주화처럼 거시적인 주제는 아니지만, 각 시대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던 사건들을 통해 한국사회가 1945년 이후 지난 70년 동안 걸어왔던 길을 재조명하고자 했다. 

지난호에서는 학계의 중심으로 우뚝 서 계신 2세대 역사학자들이 스스로 변곡점을 선택하였다면, 이번 호에서는 3세대 역사학자들이 스스로 선택한 주제를 통해 주연으로 등장했다.


책머리에 유구무언의 심정으로 / 박태균


특별기고 아베 담화에 나타난 일본의 역사인식과 그 비판 / 미야지마 히로시


특집: 해방 70년의 변곡점

미국의 대북 첩보활동과 소련의 38선 봉쇄남북 분단체제 형성을 촉진한 1946년 미소 갈등 / 김재웅

내가 진짜 애국자다19489·23 반공국민대회와 이종형 / 강성현

1956년 가정법률상담소 설립과 호주제 폐지를 향한 기나긴 여정 / 소현숙

TV, 대중의 일상을 지배하다1961KBS TV 개국과 대중문화 혁명 / 이상록

청계천 복개와 ‘1960년대적 공간의 탄생 / 염복규

1966년 롱갈리트 파동과 식품공포 시대 / 이은희

1969년 한글 자판 표준화한글 기계화의 분수령 / 김태호

1976년 경기고등학교 이전과 강남 ‘8학군의 탄생 / 오제연

테크노피아1980년대 자동화 담론과 새로운 이동체계 / 김한상

 

기획: 2015 역사과 교육과정(시안), 무엇이 문제인가?

2015 역사과 교육과정의 논리와 구성 / 양정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국사힘을 가진 그들의 역사를 반복하다 / 방지원

학습부담 경감으로 포장된 역사교육의 퇴행세계사와 동아시아사 내용 구성의 문제점 / 윤세병

 

역비논단 

4월혁명과 5·16군사쿠데타에서 미국의 역할 / 박명림

기억의 경쟁에서 기억의 연대로?홀로코스트와 프랑스 탈식민화 기억의 다방향적 접합 / 권윤경

 

기획서평 

조선시대는 한국의 오래된 미래인가? / 김시덕


서평 

한국 근대 역사학의 입구, 단발(?The GREAT ENTERPRISE: Sovereignty and Historiography in Modern Korea?, Henry H. Em, Duke University Press, 2013) / 노관범

동아시아의 미래 , ‘ 를 향한 길 찾기 ( ? 미래세대의 동아시아 읽기 ? , 이지원 , 혜원 , 2015) / 백지운

 

 첨부파일
113.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