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올해는 러시아혁명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다양한 학회와 매체가 러시아혁명을 집중 조명하는 기획을 준비하는 와중에, 「역사비평」은 조금 다른 각도에서 접근해보고자 했다. 러시아혁명이 민주주의의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이었다고 보고, 오늘날 서양 사회에서 표출되고 있는 민주주의의 위기와 그 대안에 대한 검토가 여전히 필요하다는 인식하에서, 서양 주요 국가들에서 포착되는 민주주의의 위기 상황을 돌아보았다.
책머리에 헌법 개정을 앞두고
특집 1 : 조선 건국 다시 보기, 연속성의 관점에서 본 왕조 교체 ① 정치 세력과 통치 제도
· 고려 말~조선 전기 ‘정치 세력의 이해’ 다시 보기 / 송웅섭
· 고려 후기~조선 전기 수령 중심 군현 편제의 전개와 연속성 / 정요근
· 고려 말 조선 초 토지제도 개혁과 사회 변화 / 이민우
· 고려 말 조선 초 재정 구조의 연속성과 공납제 운영 / 소순규
특집 2 : 21세기 민주주의의 위기
· 프랑스 민족전선의 인종정치와 반이민 담론의 형성 / 신동규
· 2016년 미국 대선과 민주주의의 역설 / 이찬행
·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의 세 가지 유형과 민주주의의 연관성 / 박구병
기획 : 기본소득은 대안이 될 수 있을까?
· 서양의 기본소득 논의 궤적과 국내 전망 / 안효상
· 기본소득과 국토보유세―등장 배경, 도입 방안, 그리고 예상 효과 / 전강수·강남훈
연속기획 : ‘과학대통령 박정희’라는 신화 ③
· ‘전국민 과학화운동’―과학기술자를 위한 과학기술자의 과학운동 / 문만용
· 박정희 정권 시기 저항 세력의 사회기술적 상상 / 김상현
역비논단 ·‘재독 한인 여성’에서 ‘한국계 이주민 여성’으로―재독한국여성모임의 정치운동 / 한운석
문화비평 ·촛불항쟁 이후의 시민정치와 공론장의 변화―‘문빠’ 대 ‘한경오’, 팬덤정치와 반지성주의 / 천정환
서평
·‘해방’과 ‘통일’ 사이 / 후지이 다케시
―《한국전쟁과 수복지구》(한모니까, 푸른역사, 2017)
·‘경성’의 프리즘을 통해 ‘식민지’를 읽는 또 하나의 방법 / 염복규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 식민지 경성을 뒤바꾼 디벨로퍼 정세권의 시대》(김경민, 이마, 2017),
《경성의 건축가들 : 식민지 경성을 누빈 ‘B급’ 건축가들의 삶과 유산》(김소연, 루아크, 2017)
· 도시 공간 속에 재현된 종교개혁 이야기 / 박준철
―《종교개혁, 길 위에서 길을 묻다―열흘간의 다크 투어리즘》(장수한, 한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