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 삼국통일과 통일신라의 재조명
· 신라의 영토의식과 삼한일통의식 / 윤경진
· 7세기 중·후반 동북아시아의 전쟁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 / 이재환
·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무엇을 바꾸었나? / 이정빈
대담 : 최인훈 인터뷰
· 최인훈의『광장』과 중립국행 76인의 포로 / 정병준
· 『광장』과 4·19의 연관성―“무엇을 쓰는지, 의미를 알지 못했다. 쓰고 싶었을 뿐이다” / 정병준·최인훈
기획 : 포스트사회주의 국가와 자본가의 탄생
· 북한 경제의 변화―시장, ‘돈주’, 그리고 국가의 재등장 / 정영철
· 체제 이행 이후 러시아 상위 자본가 집단의 성격 / 김동혁
· 체제 전환기 몽골의 경제와 계층 변동 / 박정후
· 베트남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발전과 지대추구에 관한 연구 / 최호림
기획 : 근대 동아시아의 도시위생 실천
· 위생에서 청결로―서울의 근대적 분뇨 처리 / 박윤재
· 차별인가 한계인가?―식민지 시기 경성 하수도 정비의 ‘좌절’ / 염복규
· 위생이냐, 이윤이냐―근대 상하이 도시위생과 상수도 / 조정은
역비논단· 냉전 시기 중국 핵개발 사례를 통해 본 북핵 문제의 현재와 미래 / 주재우·박태균
· 4·3 이후 김시종의 ‘재일’에 관한 재구성 / 윤여일
· 역사와 기억―건국연도와 연호, 그 정치적 함의 / 도진순
문화비평 · 드라마《스카이캐슬》과 신재민 사건에 나타난 학벌·계급·가족 / 천정환
서평 · 인민국가와 계급국가의 시점과 전환점―『북한 체제의 기원―인민 위의 계급, 계급 위의 국가』(김재웅, 역사비평사, 2018) / 김선호
· 제국과 식민 사상의 차이와 ‘패배’한 최남선―『육당 최남선과 식민지의 민족사상』(윤영실, 아연출판부, 2018) / 류시현
· 한반도 화교사 연구의 집대성과 문제의식의 격원(隔遠)―『한반도 화교사―근대의 초석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경제사』(이정희, 동아시아, 2018) / 김태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