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 한일관계를 어떻게 할 것인가?―한일관계 재구축의 필요성, 방법론, 가능성 / 남기정
특별기고 · 운명 앞에 겸허했던 한 여인의 소망―이병주의 『‘그’를 버린 여인』에 나타난 인간 박정희 / 임헌영
특집 : 근대 한국의 공화 담론
· 조선시대 공화(共和) 논의의 정치적 의미 / 이경구
· 3·1운동과 공화주의―중첩, 응축, 비약 / 이기훈
· 미군정이 만들려고 했던 한국의 공화 체제 / 박태균
· 이승만 정권기 ‘공화’ 이해와 정치적 전유 / 오제연
· 박정희 체제와 공화주의의 행방 / 황병주
기획 : 삼국통일과 통일신라의 재조명 ②
· 7세기의 골품제와 관등제―주민의 편적(編籍)과 이주를 중심으로 / 김창석
· 7~8세기 나당관계의 추이 / 김종복
· 삼국통일 후 신라의 지방 제도, 얼마나 달라졌나? / 박성현
기획연재 : 근대 우상과 신화의 탄생 ⑤
· 봉오동전투, 청산리전투 다시 보기 / 신주백
역비논단 · 성리학으로 조선시대를 설명하는 연구 경향의 비판적 고찰 / 허태용
· 정전 후 북한의 사회주의 개조와 민간 상업의 몰락 / 조수룡
· 서독 정부의 대한 기술원조―호만애암/한독고등기술학교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막스 알텐호펜
서평 · 근대는 죽음을 어떻게 정치화하는가?―국가적 죽음의 숭배와 그 너머 / 하상복(《전쟁과 희생》, 강인철, 역사비평사, 2019)
· 호락논쟁, 조선왕조의 철학 문제 / 계승범(《조선, 철학의 왕국―호락논쟁 이야기》, 이 경구, 푸른역사,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