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비의 책         한국학연구총서

정벌과 사대 - 역비한국학총서 41

정벌과 사대 - 15세기 조선의 대외정벌과 대명의식
역비한국학연구총서 41

이규철 (지은이) ㅣ 28,000원 ㅣ  2022-10-04
304쪽 ㅣ 양장본 ㅣ  ISBN :  9788976961419




15세기 조선의 대외정벌은 기존의 통설에서 여진이나 왜구 세력의 침입 혹은 약탈 때문에 시행되었다고 설명되었다. 하지만 당시 기록들을 보면 외부 세력이 조선을 침입한 횟수나 규모는 매우 적었다. 조선은 자신들이 입었던 피해보다 훨씬 큰 규모로 대외정벌을 시행했다. 심지어 침입의 주체를 파악하지도 않고 특정 세력을 대규모로 정벌한 사례도 있었다. 이는 15세기 조선의 대외정벌이 외부 세력에 대한 대응이 아니라 직접 기획하고 주도했던 대외정책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15세기 조선의 대외정벌은 대부분 여진 세력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그런데 여진 지역은 명목상이라고는 하지만 이미 명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었다. 조선의 대외정벌은 표면적으로는 여진과 왜구에 대한 군사행동이었지만 실제로는 명-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체와 연결된 문제였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이 바로 사대(事大)이다.

조선 건국 이후 사대의 가치를 정면으로 부정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특히 태종과 세종은 지성사대(至誠事大)를 강조하며 명에 대한 존중심을 항상 드러냈다. 여진에 대한 대규모 정벌은 조선이 누구보다 강조했던 사대의 가치에 어긋나는 대표적 사례였다. 그러나 조선의 국왕들은 사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대외정벌의 필요성 역시 강조했다. 15세기의 조선은 사대를 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가치가 아니라 국정을 장악하고 자신들의 정치 행위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활용하는 수단으로 인식했다.




책머리에
서론

1부 태조대 대외정책 기조의 수립과 대마도·요동 정벌
1장 건국 후 대외정벌 정책 수립의 배경
2장 1396년 대마도 정벌의 의미
3장 건국 직후 대명관계와 요동 정벌의 추진

2부 태종대 대외정벌 정책의 추진과 시행
1장 태종대의 대명의식과 모련위 정벌
2장 1419년 대마도 정벌 이전 왜구의 활동과 명의 상황
3장 명의 정왜론에 대한 조선의 논의와 대마도 정벌

3부 세종대 대외정벌 정책의 본격화와 파저강 정벌
1장 파저강 정벌 이전의 국제정세
2장 여연 사건과 파저강 정벌의 결정
3장 파저강 정벌 단행과 조선의 대명의식
4장 파저강 재정벌의 준비와 단행
5장 영토 확장과 대외정벌의 위험성

4부 세조대 대외정벌 정책의 계승과 대명의식
1장 모련위 정벌의 의미와 대명의식
2장 건주위 정벌 단행과 명의 출병 요청

5부 성종대 대명의식 변화와 대외정벌 정책의 한계
1장 명의 출병 요청과 대명의식의 변화
2장 북정 실패와 왕권의 약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