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일 2014-04-30 정가 15,000원
512쪽 ㅣ 신국판
책머리에 2
특집 1 반(反)식민 역사학의 주체와 방법
한국 근현대 역사학의 反植民 主體와 歷史의 ‘正常化’ / 장용경 7
한국사학계 반식민 역사학 정립 과정에서 실증사학의 위상 변화 / 김종준 39
反식민주의 역사학에서 反역사학으로
―동아시아의 ‘戰後 역사학’과 북한의 역사 서술 / 홍종욱 67
특집 2 일제시기 지역사회의 변화와 지역정치
일제시기 지역주민의 집합행동과 ‘공공성’ / 한상구 103
일제시기 읍·면 협의회와 지역정치―1931년 읍·면제 실시를 중심으로 / 허영란 129
일제시기 지역 사회운동의 주도세력 변화와 그 함의
―전남 장흥군 사례를 중심으로 / 이용기 167
<논평문> 憑公營私와 민중―‘일제시기 지역사회의 변화와 지역정치’ 논평 / 황병주 199
저작비평
‘불온’한 자들의 삶, 어떻게 역사로 이야기할 것인가―정병욱 저, 『식민지 불온열전』, 역사비평사, 2013 205
연구논문
‘朝鮮史’의 서술과 역사지식 대중화
―黃義敦의 『中等朝鮮歷史』를 중심으로 / 박종린 247
재일유학생의 국내 3·1운동 참여―「양주흡 일기」를 중심으로 / 최우석 273
1920년대 초반 식민지조선의 자유주의와 문화주의 담론의 인간관·민족관 / 윤상현 317
‘법(法)’과 ‘혈(血)’의 모순적 이중주
―식민지시기 ‘사생아’ 제도의 실천, 그리고 균열들 / 홍양희 345
일제 식민권력의 재해대책 추이와 성격 / 고태우 377
비평가 김현과 분단에 대한 제 3의 사유 / 송은영 423
현실비평
영화 <변호인>이 불편한 이유 / 한영인 451
집담회
전장(戰場)의 한 귀퉁이에서―젊은 연구자들의 한국사 교과서 논쟁 뒷담화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