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민주화 20년, 역사비평 20년
권두논문 과거사 진상규명의 점검과 향후 과제 | 서중석
특집 1 민주화 이후 근현대사 연구 20년: 어떻게 새롭게 할 것인가
‘식민지근대’론과 민족주의 | 이승렬
우리 시대 후발 ‘이중혁명’에 대한 비판적 성찰
―산업화와 민주화의 한국적 길, 비교역사적 시각에서 본 그 특질과 결과 | 이병천
민족주의 논쟁과 세계체제, 한반도 분단 문제에 대한 대응 | 홍석률
민주화 이후 국제관계와 세계인식
―국가전략, 담론·지식, 시민사회의 거대변환 | 박명림
‘지나간 미래’의 성찰과 새로운 대안사회의 모색 | 장상환
탈중심의 세계사 인식과 한국근현대사 성찰 | 김성보
특집 2 박정희 집권기의 재조명
박정희시대의 ‘공안사건’들과 진상규명 | 정호기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 | 박태균
김대중 납치사건과 박정희 저격사건 | 이완범
박정희의 자주국방과 핵개발 | 조철호
특별기획 서양사와 한국사의 소통 공간, 『역사비평』 20년의 기록 | 김승렬
역사기행 교토가 말하는 한일관계 2000년―근세편 | 정재정
기획서평 식민지 경험의 재구성과 삶의 단위
―『근대를 다시 읽는다』를 읽고 | 정병욱
서평 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 한국 근대영화사
―『투사하는 제국 투영하는 식민지』(김려실, 삼인, 2006) | 이준식
‘식민지근대화론’의 역사인식 해부
―『한국의 식민지적 근대 성찰』(정태헌, 선인, 2007) | 홍성찬
역사는 왜 가르쳐야 하는가, 고민 속에 만난 『무기가 된 역사』
―『무기가 된 역사』(에드가 볼프룸, 역비, 2007) | 김정인
문화비평 전쟁, 살인 그리고 음악―나치제국에서 음악의 역할 | 이경분
역비에 바란다
『역사비평』 20주년을 축하합니다 | 강만길
스무 살 어른이 할 일 | 임헌영
두 가지 당부 | 임경석
역사비평 20주년을 맞아 | 서승
역사비평 20주년을 기념하며 | 브루스 커밍스
“역사 흐면 죽이라도 먹냐?” | 정재철
소통하는 『역사비평』을 기대하며 | 김아람
권말부록 『역사비평』 총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