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비의 책         계간 역사비평

역사비평 통권 83호 / 2008년 여름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051


2008년 05월 30일 출간 | 516쪽 | A5
ISSN-10 : 1227362707
ISSN-82 : 9771227362707
정가 12,000원


책머리에 위험 사회의 경고

시론 다시 보는 과거사 정리―프랑스와 남아공이 주는 교훈 / 임현진

특집 남북 정부 수립 60주년
이승만과 제1공화국―분단과 건국의 담론을 넘어
평화공존의 관점에서 본 남북 국가의 초기 성격과 상호 경쟁 / 김성보
이승만의 한국 문제·동아시아·국제관계 인식과 구상
―악마화와 신화화, 건국 담론과 분단 담론의 대립을 넘어 / 박명림
이승만 정권의 자립경제론, 그 지향과 현실 / 정진아
제1공화국의 지배 이데올로기―반공주의와 그 변용들 / 후지이 다케시
1950년대 노동 지배 담론과 노동자의 대응 / 이정은
4H 운동과 1950년대 농촌 청소년의 ‘동원’ 문제 / 한봉석

기획연재 1 식민지 불온 열전
경성 유학생 강상규, 독립을 열망하다 (上) / 정병욱

기획연재 2 우리 시대의 역사가들
유럽 통합의 역사화―유럽 통합사의 선구자 발터 립겐스 / 김승렬
분단 국가의 현대사가―크리스토프 클레스만 / 최승완

역비논단 보수주의자들의 ‘실용주의’적 통일 정책
―1980년대 서독 콜 정부의 동방 정책 계승 / 이동기

역사기행 오사카성 부근에 남겨진 근대 한일 관계의 상흔 / 쓰카자키 마사유키(塚崎昌之)

초점 교과서포럼의 ‘대안교과서’ 어떻게 볼 것인가
뉴라이트의 식민사관 부활 프로젝트
―근대 초기 서술의 문제점 / 주진오
식민지 근대화론에 매몰된 식민지 시기 서술 / 박찬승
‘대안 교과서’의 난감한 역설―현대사 서술 분석 / 홍석률

학술동향 ‘지구사’ 연구의 오늘과 내일
―‘지구적 차원에서 지구사를!’ 학술대회를 다녀와서 / 임지현

집중서평 미국 학계의 한국 근현대사 인식
홍경래의 난, 폭넓은 시각과 수많은 논쟁거리
―Sun Joo Kim, 『Marginality and Subversion in Korea』 / 오수창
근대 민족 담론 서사 전략 연구의 딜레마
―안드레 슈미드, 『제국, 그 사이의 한국』 / 은정태
내부적 역동성에 주목한 북조선 혁명사
―찰스 암스트롱, 『북조선 탄생』 / 기광서
미국의 기대보다 더 잘하고 있는 한국
―Gregg Brazinsky, 『National Building in South Korea』 / 박태균
70년대 이후 한국의 ‘민중’ 운동, 구성 혹은 해체의 역사?
―Namhee Lee, 『The Making of Minjung』 / 권영숙

서평 한국 경제개발계획 기원 연구의 완성을 위하여
―박태균, 『원형과 변용: 한국 경제개발계획의 기원』 / 공제욱
선택받지 못한 박정희의 선택
―김형아, 『유신과 중화학공업: 박정희의 양날의 선택』 / 김정주
‘기억’의 사회화를 위해
―김영수, 『과거사 청산, ‘민주화’를 넘어 ‘사회화’로』 / 이기훈

역사수상 ‘난동’, ‘정벌’, ‘원조’를 넘어
―‘임진왜란’을 부르는 동아시아 공통의 용어를 위하여 / 한명기

 첨부파일
역사비평83.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