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비의 책         한국학연구총서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 한명기 지음


한명기 지음
1999년 8월 30일 / 450쪽 / 210*148mm (A5)/양장본
ISBN 8976961145
정가 18.000원

소개글

한반도는 대륙 세력의 입장에서 보면 해양세력이 건너오는 '다리'이고, 해양 세력의 입장에서 보면 대륙 세력이 자신들을 겨누는 '칼끝'이라고 한다. 21세기를 앞둔 동북아 국제질서 속에서도 한반도의 지정학적 중요성은 변함이 없고, 주변 열강과의 관계 속에서 제대로 대응하려면 외교적 능력을 키워야만 할 것이며 내부가 건실하지 않으면 외교능력이 성숙하길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책은 역시나 숨가쁘고도 엄혹했던 조선시대, 특히 임진왜란을 중심으로 한 선조말-광해군-인조대를 주 대상 시기로 삼아 경제적.문화적.외교적 능력이 어떻게 발휘되었는지를 '재조지은(再造之恩, 나라를 다시 일으켜준 은혜)'라는 키워드를 갖고 구체적으로 살핀 연구 성과물이다.

이 책에서는 명나라의 한반도에 대한 관심과 정책이 가장 집약적이고 적극적인 형태로 나타났던 임진왜란 시기부터 17세기 초반 명이 망할 무렵까지를 대상으로 삼아 17세기의 중국, 특히 명의 한반도 정책과 그에 대한 우리의 대응을 고찰해보고자 했다.

이 시기 조선과 명의 관계에서는 양국관계를 규정지어온 전통적인 기제, 즉 '책봉-조공 체제' 이외에 임진왜란 당시 명군의 참전을 계기로 형성된 '재조지은'이 큰 변수로 작용하였다. '재조지은'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형성되어, 전쟁 이후 선조말-광해군-인조대에는 후금의 도전으로 곤경에 처한 명이 조선에 대해 군사적.사회경제적 원조를 요구하는 배경이 되었다.

'재조지은에 보답해야 한다'는 명분을 걸고 명이 내세운 각종 요구에 대한 조선의 반응은, 선조-광해군-인조대 조선의 내부 사정과 맞물려 각각 다른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 책은 바로 '재조지은'에 주목하면서 임진왜란에서 병자호란까지의 대명관계의 실상과 추이를 탐색한다.

저자소개
한명기 - 1962년생으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가톨릭대, 한국외국어대, 한신대에서 강의를 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 규장각 특별연구원으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광해군대의 대북세력과 정국의 동향」, 「17세기 초 은(銀)의 유통과 그 영향」, 「19세기 전반 반봉건 항쟁의 성격과 그 유형」, 「광해군대의 대중국관계」, 「반정과 쿠데타」, 「임진왜란 시기 재조지은의 형성과 그 의미」 등이 있다. 현재 <광해군 평전>을 집필하고 있다.

작가의 말
17세기 이후 명이 망할 때까지 한중관계의 분수령이 된 것은 임진왜란과 그 전쟁에 명이 참전했던 사실이었다. 명은, 명군의 참전과 장기 주둔을 통해 조선 사정을 속속들이 알게 되었거니와 이후 조선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은 결정적으로 커지게 되었다.

그것은 우리 현대사에서 미국과 주한미군이 차지하는 영향력을 연상시킬 만큼 큰 것이었다. 왜란 이후 조선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명군이 참전하여 원조한 것을, '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워준 은혜(再造之恩)'로 여겨 숭앙해왔거니와 당시 한반도에서 명군의 활동이 과연 '재조지은'이라 부를 만한 것인지를 살폈다. 명군 참전이 조선에 남긴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영향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 한명기

<목차>

제1부 선조대 후반 임진왜란과 대명관계

제1장 명군 참전과 정치적 영향

1. 명군 참전의 배경과 그를 둘러싼 조선과의 갈등
2. 조선 주권의 침해
3. '재조지은'의 형성과 전개

제2장 명군 참전과 경제적 영향

1. 조선의 은(銀) 수요 증대와 명나라 은의 유입
2. 명나라 상인들의 유입과 활동
3. 은광개발과 중상론의 강조

제3장 명군 참전과 사회.문화적 영향

1. 명군 주둔에 따른 민폐와 사회상
2. 명 문물의 유입과 조선의 대응


제2부 광해군대의 대명관계

제1장 광해군 초.중반 조명 사이의 쟁점

1. 광해군 책봉문제와 정치적 갈등
2. 은(銀) 문제와 관련된 경제적 갈등

제2장 대후금 출병 문제와 대명관계

1. 광해군대의 대후금 정책
2. 원병 파견을 둘러싼 명과의 갈등
3. '심하전투' 패전의 문제들

제3장 '심하전투' 패전 이후의 대명관계

1. 명의 조선 평가와 재징병 요구
2. 조선의 외교적 대응
3. 출병과 출병 논의가 조선에 미친 영향


제3부 인조반정과 대명관계의 추이

제1장 외교정책의 측면에서 본 인조반정 발생의 배경

1. 광해군대 대외정책에 대한 기존 평가의 문제점
2. 광해군대 대외정책에 대한 재평가 : 대외정책의 명암

제2장 인조반정 승인을 둘러싼 명과의 갈등

1. 명의 인조반정 인식과 조선의 대응
2. 인조책봉 논의와 명의 의도

제3장 인조반정 이후 병자호란 이전의 대명관계

1. 인조반정 직후 대명.대후금 관계의 실상
2. '모문룡 문제'와 대명관계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첨부파일
8976961145_1.gi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