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 이후, K-민주주의와 문화정치 |
천정환(지은이) | 역사비평사 | 2020-05-27 무선 | 356쪽 | 17,000원 | 152*224mm | ISBN : 9788976964366 |
서문
1. ‘장수풍뎅이’들과 ‘K-민주주의’ ∥ 2. 역사와 문화, 그리고 맥락 8
1부 ‘촛불’의 문화와 대중정치
01. 누가 촛불을 들고 어떻게 싸웠나―2016/17 촛불항쟁의 문화정치와 비폭력·평화의 문제
1. 항쟁과 문화 ∥ 2. 2016/17 촛불집회의 다중적 주체와 문화적 표현 ∥ 3. ‘비폭력·평화’의 문제와 촛불의 주체성 ∥ 4. 촛불은 누구에 의해, 어디서 멈췄는가?
02. 촛불항쟁 이후의 대중민주주의와 포퓰리즘 문제
1. 두 봉기와 불안한 기대 ∥ 2. ‘민주 대 반민주’ 너머, 87년체제 청산의 과제 ∥ 3. 2000년대 이후 대중성의 구조변동과 포퓰리즘 ∥ 4. 대중정치의 정동과 지성 ∥ 5. 새로운 사회를 위한 새로운 지적 기획을
03. 촛불항쟁 이후 시민정치와 공론장의 변화―팬덤정치와 반지성주의
1. 촛불은 혁명인가 청원인가 ∥ 2. 팬덤정치의 재구성과 ‘문재인 지키기’의 심성 구조 ∥ 3. 촛불 이후의 공론장과 대중지성의 재구성 ∥ 4. 다시 ‘엘리트 대 대중’의 이분법을 넘어
04. 블랙리스트 사건의 문화사적 의미
1. 블랙리스트 사건의 총체성 ∥ 2. 블랙리스트 사건의 반민주주의 ∥ 3. 검열정치=저강도의 전쟁정치+신자유주의 공안통치 ∥ 4. 블랙리스트 사태에 대한 사회적 반응 ∥ 5. 블랙리스트 사태 극복의 노력과 그 문화사적 의미 ∥ 6. 더 풀어야 할 숙제
2부 역사전쟁과 문화정치
01. 3·1운동 100주년의 대중정치와 민족주의의 현재
1. 2000년대 이후 한국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 2. ‘관변’ 100주년 기념사업과 문화정치적 맥락 ∥ 3. 반일 보이콧 운동과 대중 민족주의의 흐름 ∥ 4. 민족주의에 대한 반작용과 원심력 ∥ 5. 민족주의를 넘어, 새로운 공동체를 꿈꾸며
02. ‘역사전쟁’과 역사영화 전쟁―근·현대사 역사영화의 재현 체계와 수용 양상
1. 영화를 통한 문화투쟁·이념전쟁 ∥ 2. ‘역사전쟁’과 역사-영화-전쟁 ∥ 3. 역사영화의 개념과 수용 체계 ∥ 4. 역사영화의 사회적 역능 ∥ 5. 근대사 역사영화의 재현 체계와 반일 민족주의 ∥ 6. 시대착오와 현대사 영화 ∥ 7. 역사영화와 역사적 상상력
03. 1980년대의 ‘역사기억’과 <응답하라 1988>
1. <응팔>, 비판적 대중 서사인가 보수적 판타지인가 ∥ 2. <응팔>의 ‘시간’과 역사화의 방법 ∥ 3. 보수적 유토피스틱스, <응팔>은 86세대판 <국제시장>? ∥ 4. 기억의 현재성
3부 K-민주주의의 계급, 젠더, 세대
01. 강남역 살인사건부터 ‘메갈리아’ 논쟁까지―‘페미니즘 봉기’와 한국 남성성의 위기
1. 페미니즘 붐과 변화들 ∥ 2.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 남성 담론 ∥ 3. 남성성의 자리들 ∥ 4. 남성성의 변화 가능성 ∥ 5. ‘함께 바꾸자’는 제안
02. ‘스카이캐슬’을 어떻게 부술까?―가족·계급과 교육개혁에 대한 일고
1. ‘엄친아’의 민낯? ∥ 2. 순수한(?) 자아=외모+가족 ∥ 3. 가족·계급, 그리고 학벌 ∥ 4. ‘학종 대 정시’의 매트릭스
03. 세대 담론, 그리고 영화 <1987>―586 vs 20대
1. ‘벌레 소년’의 문재인 탄핵송 ∥ 2. 2018년판 청년 세대론의 주체와 내용 ∥ 3. 영화 <1987>을 둘러싼 세대의 문화정치 ∥ 4. 586 헤게모니에 대한 반발
부록
연표: 촛불항쟁 전후(2015~2019) 한국사회와 문화정치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