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인문교양

제목

촛불 이후, K-민주주의와 문화정치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1.22
첨부파일1
추천수
0
조회수
941
내용


촛불 이후, K-민주주의와 문화정치

천정환(지은이) | 역사비평사 | 2020-05-27

무선 | 356쪽 | 17,000원 | 152*224mm | ISBN :  9788976964366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주목받고 있는 ‘K방역’의 성공과 ‘촛불’에 공통된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것은―의료계를 위시한―몇몇 분야의 세계 최고의 실력과 공동체를 위한 헌신적 노력,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 공공서비스 노동자들의 희생, IT 하이테크에 기반한 속도와 접속의 밀도, 자유주의적인 정부, 그리고 무엇보다도 시민들의 민주적 참여 등이다.
이 책은 바로 그 요소들과 맥락이 함께 구성하고 있는 한국 문화정치를 ‘K-민주주의’라 부르고, 그 속내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것을 국가, 근대성, 자유, 개인 같은 추상적인 큰 개념으로 프레이밍하기보다는 2016/17 촛불항쟁을 위시하여 지난 몇 년간의 시공간에 나타난 구체적인 양상을 통해 살펴보려 한다.?

 

서문

1. ‘장수풍뎅이’들과 ‘K-민주주의’ ∥ 2. 역사와 문화, 그리고 맥락 8


1부 ‘촛불’의 문화와 대중정치

01. 누가 촛불을 들고 어떻게 싸웠나―2016/17 촛불항쟁의 문화정치와 비폭력·평화의 문제

1. 항쟁과 문화 ∥ 2. 2016/17 촛불집회의 다중적 주체와 문화적 표현 ∥ 3. ‘비폭력·평화’의 문제와 촛불의 주체성 ∥ 4. 촛불은 누구에 의해, 어디서 멈췄는가?

02. 촛불항쟁 이후의 대중민주주의와 포퓰리즘 문제

1. 두 봉기와 불안한 기대 ∥ 2. ‘민주 대 반민주’ 너머, 87년체제 청산의 과제 ∥ 3. 2000년대 이후 대중성의 구조변동과 포퓰리즘 ∥ 4. 대중정치의 정동과 지성 ∥ 5. 새로운 사회를 위한 새로운 지적 기획을

03. 촛불항쟁 이후 시민정치와 공론장의 변화―팬덤정치와 반지성주의

1. 촛불은 혁명인가 청원인가 ∥ 2. 팬덤정치의 재구성과 ‘문재인 지키기’의 심성 구조 ∥ 3. 촛불 이후의 공론장과 대중지성의 재구성 ∥ 4. 다시 ‘엘리트 대 대중’의 이분법을 넘어

04. 블랙리스트 사건의 문화사적 의미

1. 블랙리스트 사건의 총체성 ∥ 2. 블랙리스트 사건의 반민주주의 ∥ 3. 검열정치=저강도의 전쟁정치+신자유주의 공안통치 ∥ 4. 블랙리스트 사태에 대한 사회적 반응 ∥ 5. 블랙리스트 사태 극복의 노력과 그 문화사적 의미 ∥ 6. 더 풀어야 할 숙제


2부 역사전쟁과 문화정치

01. 3·1운동 100주년의 대중정치와 민족주의의 현재

1. 2000년대 이후 한국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 2. ‘관변’ 100주년 기념사업과 문화정치적 맥락 ∥ 3. 반일 보이콧 운동과 대중 민족주의의 흐름 ∥ 4. 민족주의에 대한 반작용과 원심력 ∥ 5. 민족주의를 넘어, 새로운 공동체를 꿈꾸며

02. ‘역사전쟁’과 역사영화 전쟁―근·현대사 역사영화의 재현 체계와 수용 양상

1. 영화를 통한 문화투쟁·이념전쟁 ∥ 2. ‘역사전쟁’과 역사-영화-전쟁 ∥ 3. 역사영화의 개념과 수용 체계 ∥ 4. 역사영화의 사회적 역능 ∥ 5. 근대사 역사영화의 재현 체계와 반일 민족주의 ∥ 6. 시대착오와 현대사 영화 ∥ 7. 역사영화와 역사적 상상력

03. 1980년대의 ‘역사기억’과 <응답하라 1988>

1. <응팔>, 비판적 대중 서사인가 보수적 판타지인가 ∥ 2. <응팔>의 ‘시간’과 역사화의 방법 ∥ 3. 보수적 유토피스틱스, <응팔>은 86세대판 <국제시장>? ∥ 4. 기억의 현재성


3부 K-민주주의의 계급, 젠더, 세대

01. 강남역 살인사건부터 ‘메갈리아’ 논쟁까지―‘페미니즘 봉기’와 한국 남성성의 위기

1. 페미니즘 붐과 변화들 ∥ 2.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 남성 담론 ∥ 3. 남성성의 자리들 ∥ 4. 남성성의 변화 가능성 ∥ 5. ‘함께 바꾸자’는 제안

02. ‘스카이캐슬’을 어떻게 부술까?―가족·계급과 교육개혁에 대한 일고

1. ‘엄친아’의 민낯? ∥ 2. 순수한(?) 자아=외모+가족 ∥ 3. 가족·계급, 그리고 학벌 ∥ 4. ‘학종 대 정시’의 매트릭스

03. 세대 담론, 그리고 영화 <1987>―586 vs 20대

1. ‘벌레 소년’의 문재인 탄핵송 ∥ 2. 2018년판 청년 세대론의 주체와 내용 ∥ 3. 영화 <1987>을 둘러싼 세대의 문화정치 ∥ 4. 586 헤게모니에 대한 반발


부록

연표: 촛불항쟁 전후(2015~2019) 한국사회와 문화정치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천정환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논저로는 『자살론』(문학동네, 2013),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123편 잡지 창간사로 읽는 한국 현대 문화사』(마음산책, 2015), 『숭배 애도 적대』(서해문집, 2021) 등이 있다. 근래 1980-90년대 문화사와 지성사에 관심을 기울여 연구하고 있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